선농칼럼

조회 수 4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옛 그림으로 본 선비의 됨됨이와 풍류

 

손철주 미술평론가

 

 

선비3.png

 

옛 그림은 장르에 따라 그리는 비결이 따로 있습니다. 옛 선비들의 됨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장르는 초상화이겠 지요. 초상화를 그리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꼴을 그려 얼을 살리기’랍니다. 꼴은 외모, 얼은 정신입니다. 외모에서 정신을 찾는 것이 초상화의 핵심이지요. 외모 에서 어떻게 정신을 찾을 수 있습니까. 그 키워드는 ‘성 어중(誠於中) 형어외(形於外)’입니다. 곧 ‘마음에 성의가 있으면 겉으로 모양이 드러난다’는 말이지요. 겉모양은 마음 씀씀이를 짐작하게 만듭니다. ‘초상’이란 말의 뜻을 생각해보십시오. 그것은 ‘생긴 것이 닮았다’는 뜻입니다. 이때의 ‘닮음’이란 얼굴만이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과 생 각까지 아우르는 말이겠지요. 옛날 초상화는 꼴과 얼이 하나로 합쳐져 있으니, 모델이 되는 그 사람의 생김새와 마음씨를 동시에 엿볼 수 있는 그림입니다.

 

선비들의 풍류는 어떠했을까요. 예부터 이런 말이 있었 습니다. ‘서울 양반은 입는 옷 사치, 호남 양반은 먹는 음 식 사치, 영남 양반은 사는 기와집 사치.’ 잘 먹고 잘 사 는 양반이라 해도 올바른 양반은 풍류정신을 알면서 노 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했을 테지요. ‘풍류’는 바람 風, 흐를 流를 씁니다. 그만큼 풍류의 의미는 변덕스럽고 다 채롭습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멋과 운치를 즐기 는 아려한 삶의 태도’로 풍류의 의미는 대체로 굳어집니 다. 지나쳐서 방탕한 경지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우리 옛 그림에 등장하는 선비들의 풍류는 시서화 정신에 바 탕을 둔 웅숭깊은 인문적 풍경을 자아냅니다. 그들의 풍 류세계를 그림으로 만나보는 일은 흥미진진할 수밖에 없겠지요.

 

단원 김홍도(金弘道)는 표범의 가죽을 그린 아주 독특한 를 남겼는데요. 살아 있는 표범이 아니고 왜 하필 표범의 껍질을 그렸 을까요. 껍질을 그려 놓으니까, 표범의 무늬가 더 선명하게 보이죠? 여기 에 답이 있습니다. 옛날 《주역(周易)》에 보면, ‘혁’이라는 괘를 설명하는 괘사가 나와 있는데요. 가죽을 혁(革)이라고 하죠? 피혁은 겉껍질이라는 뜻입니다. 주역에 혁괘(革卦)를 설명하는 대목에 ‘대인호변(大人虎變) 군 자표변(君子豹變) 소인혁면(小人革面)’이라고 했습니다. 대인은 자기가 바 뀌는 게 어떻게 바뀌느냐 하면 가을철에 호랑이가 털갈이 하듯이 바뀐다 는 얘기입니다. 군자는 어떻게 바뀌느냐.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소인은 혁면이라, 낯짝만 바꾼다고 했지요. 여기서 표변 (豹變)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표변이 뭐라고 나옵니까? 그냥 약속이나 신의를 이렇게 손바닥 뒤집듯이 순식간에 바꾸는 것을 보 고 저사람 표변했다고 하죠? 원래 그 뜻은 표범이 가을날 털갈이를 하듯이 변한다는 얘기로 좋은 의미입니다. 그런데 원래의 표변이 나쁜 의미로 전 용이 된 것이죠. 군자는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변해야 한다. 그만큼 자기 개혁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인물 중에서 손권(孫權)의 참모인 여몽(呂蒙)이라는 사람 이 있었는데, 여몽이 머리는 대단히 좋은데 노력을 안 했다고 해요. 군자가 되어서 책 읽기를 게을리 하면 곤란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손권이 하루는 여몽을 불러서 얘기를 합니다. “자네는 재주도 좋고 말이지, 머리도 상당 히 좋은 사람인데, 어찌하여 노력을 게을리 하는가?” 군주가 한마디 하니 까, 여몽이 큰일 났다 싶어서 그때부터 작심을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변했 느냐! 여기서 어떤 얘기가 나오느냐, ‘사별삼일 괄목상대(士別三日 刮目相 對)’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선비는 사흘만 헤어졌다가 만나면, 눈을 비비 고 봐야 할 상대로 바뀌어 있다.’ 이런 얘기입니다. 군자의 개혁이 그런 겁 니다. 사흘 만에 자기 자신을 완전히 갱신시키는 놀라운 개혁! 이것이 바로 표변입니다, 표변! 그러니까 단원의 이 그림은 아마도 사대부 집안에서 자 기를 개혁하기 위해 목표를 정한 벼슬아치가 이런 그림을 부탁해서 걸어 놓고 자기 교훈으로 삼지 않았는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 매미 그림도 있습니다. 매미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선비의 삶과 관련이 있습니다. 매미의 수명은 어떻습니까? 고작 일주일 남짓입니다. 그 기간 신나게 울다가 그리고는 어디론가 사라집니다. 목숨이 짧지요. 다만 매미 는 애벌레 시절이 깁니다. 성충이 되기까지 땅 속에서 7년 이상을 기다립 니다. 매미는 나무로 올라가기까지 오랜 기다림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것 이 선비나 사대부들이 지녀야 할 덕목과 닮았습니다. 옛 문인이 말했어요. 매미는 오덕(五德)을 갖고 있다고 말입니다. 첫 번째가 ‘문(文)’입니다. 매 미의 이마를 보면 더듬이가 있지요? 그것을 보고 갓끈이라고 생각을 해서 옛날 사람들은 매미도 문자 속이 있을 거라고 믿었지요. 그래서 매미의 첫 번째 덕목이 ‘문’입니다. 두 번째는 ‘청(淸)’입니다. 매미는 무엇을 먹죠? 깨 끗한 나무 수액을 먹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덕은 ‘맑을 청’이 되는 겁니다.

 

선비4.png

 

 

세 번째는 ‘염(廉)’입니다. 매미는 남이 지어놓은 곡식을 축내지 않죠? 쌀, 보리에 입을 대지 않아요. 그러니까 염치가 있는 겁니다. 네 번째는 ‘검(儉)’ 입니다. 매미는 자기가 살 집을 따로 짓지 않습니다. 매미는 부동산 투기를 안 하는 것이죠. 검소하게 살기 때문에 ‘검’입니다. 마지막 덕이 무엇이냐? ‘신(信)’입니다. 매미는 여름 내내 울다가 철이 바뀌면 떠나야 할 때를 알고 떠나죠? 그래서 신의가 있습니다. 문(文), 청(淸), 염(廉), 검(儉), 신(信). 이 다섯 가지가 매미의 오덕입니다. 매미의 오덕은 선비나 사대부, 벼슬할 사 람이라면 누구나 지녀야 할 덕목입니다. 매미를 보면서 선비와 군자가 지 켜야 할 덕목을 강조할 수 있는 것이지요. 벼슬아치들이 쓰고 있는 모자를 오사모(烏紗帽)라고 부르는데요. 오사모를 보면 날개처럼 옆으로 나와 있 는 것이 있죠? 이게 매미가 날개를 펼친 겁니다. 임금의 모자는 익선관(翼 蟬冠)이라고도 하는데, 날개 익(翼), 매미 선(蟬)자가 들어있죠. 그 매미 날 개가 우뚝 서 있습니다. 매미가 날개를 쫙 모아 비상하는 그런 기상을 보 여 주는 겁니다. 벼슬하는 이들의 관모에 매미의 날개가 붙은 것도 다섯 가지 덕과 연관됩니다.

 

양반이 벼슬을 마다하고 내려와서 은거를 하면 어떤 식으로 살았는지 알 아봅시다. 단원 김홍도가 그런 그림을 남겼습니다. 단원의 는 선비 집안의 인테리어를 엿보게 합니다. 먼저 그림 속의 저 선비가 맨 발인 것이 눈에 띕니다. 그만큼 선비의 정신이 얽매임 없는 자유를 누린 다는 의미겠지요. 선비가 들고 있는 것이 당비파(唐琵琶)입니다. 시서(詩 書) 뿐만 아니라 음악을 즐길 줄 알아야 참다운 군자가 된다고 일찍이 공 자가 말씀하셨지요. 왼쪽에 보면 천으로 싸 놓은 뭉치들이 있는데, 이게 전부 다 서책입니다. 바닥에 보면 파초(芭蕉)가 있습니다. 선비 집안에 파 초가 있는 것은 그저 관상물만 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독학하는 것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당나라 때 중국의 회소(懷素)라는 아주 유명한 서예 가가 있었는데, 집안이 너무 가난해서 붓글씨를 연습할 종이를 살 수 없 어 넓은 파초 잎에 먹을 갈아 붓글씨 연습을 했습니다. 쓰고 나서는 물에 한번 설렁설렁 흔들면 먹이 달아나니까 또 쓸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파 초는 독학의 의미가 생겼습니다.

 

그 옆에 붓이 있고 벼루가 있습니다. 문인들의 네 가지 벗을 문방사우(文 房四友)라고 하지요. 지, 필, 묵, 연입니다. 그 앞에 선비 발치에 놓인 것이 ‘생황(笙簧)’이라는 악기입니다. 입에 대고 불면 구슬픈 소리가 나는 관악 기죠, 칼도 있습니다. 칼이 품고 있는 상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단칼’이라 는 말에서 우리가 느끼듯이 자신의 게으른 마음을 경계하는 것, 그리고 깨 어 있는 정신이나 진실, 이런 것이 칼이 내포한 상징입니다. 그 때문에 문 인도 칼을 하나씩 집안에 두고 있었습니다. 뒤쪽에 보면 표주박이 있습니 다. 표주박 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아마 술이 들었겠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불고 연주하다가 또 흥이 나면 술을 마시고 저기 있는 두루마리를 펼쳐서 또 시 한 수를 적고 그랬겠죠. 단원의 그림에 들어 있는 글을 보면 이 선비의 의사를 알 수 있습니다. 紙窓土壁(지창토벽) 終身布衣(종신포 의) 嘯詠其中(소영기중). 종이로 창을 만들고 흙으로 벽을 바른 곳에서 평 생 삼베옷 입고 살지만 그 속에서 노래하고 읊조리리라. ‘포의’를 입고 산 다는 말은 벼슬을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관복을 입지 않는다는 뜻이지 요. 벼슬을 안 해도 좋다, 종이로 만든 창 그리고 흙으로 지은 벽, 그 속에 서 노래하고 시를 지으며 살고 싶다. 참 소박한 꿈입니다.

 

 

책 소개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미술평론가 손철주의 (2011, 오픈하우스)는 미술과 인간의 삶을 절절하게 다루는 저자 고유의 미문美文을 맛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읽을 때 마다 새로운 느낌을 전해주는 스테디셀러다. 고 전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넘나드는 저자의 해박함은 극적劇的인 문체를 더욱 돋보이게 하며 그림뿐 아니라 그림을 그린 작가의 성정까지 짐작할 수 있을 만큼 생생하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 그림이라고 예외 일까? 이 책은 그림에 관심은 많은데 보는 법을 모르겠다고 고민하는 사 람들을 위해 저술된 것이다. 저자는 그림은 즐겨야 할 대상이므로 편견 과 독단으로 가득한 감상일지라도 아는 대로 자신 있게 이야기해보라고 권하면서 그와 가깝게 다가서도록 이끈다

 

선비5.png

 


  1. 학교는 어떤 곳인가?

    박수정 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배움이 이루어지는 가장 대표적인 곳, 학교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학생으로서 학교에서 지낸 시간이 십수년이고, 학부모가 되어 그리고 조부모가 되어 다시 학교와 인연을 맺게 된다.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은 약 50만명인데, ...
    Date2024.01.24 Views23
    Read More
  2. 50여만 마리 ‘날갯짓’ 가창오리의 황홀한 군무가 펼쳐진다.

          허정균 前한겨레신문 기자 뉴스서천 국장 아직은 적은수이지만 한국에서도 탐조 인구가 차츰 늘고 있 다. 유럽에서는 최상의 레포츠로 탐조 활동을 꼽고 있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호흡하고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갖게 하며 마음을 치유...
    Date2024.01.29 Views5
    Read More
  3. 브루넬스키의 달걀

    김해은 한사랑의원 원장 대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   피렌체 도시 중심에 우뚝 서 있는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은 피렌체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우리에게는 듀오모로 알려져 있는데 듀오모는 대성당을 의미하는 말로 주교가 있는 대성당을 카테드랄 또...
    Date2024.01.24 Views8
    Read More
  4. 한국인과 비빔밥

       조환복  前멕시코 대사  (사)선농문화포럼 이사     영국인들은 사석에서 자국을 방문하는 프랑스인에게 영국은 음식이 볼품없고 기후도 안 좋은데다가 예술 수준도 프랑스만 못하다는 자기 비하적인 변명을 자주 한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오래 전 영국 신...
    Date2023.08.08 Views26
    Read More
  5. AI와 클라우드, 그 공동번영의 관계

        챗GPT가 세상에 등장한지 이제 겨우 반년이 좀 더 지났습니 다. 챗GPT를 시작으로 여러 생성형 AI들이 앞다투어 등장하며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개인의 생활과 산업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음성까지 그 종...
    Date2023.08.08 Views9
    Read More
  6. 1997년의 위기, 2022년의 위기

    이성철 한국일보 대표이사   정확히 25년전이다. 1997년 딱 이맘때, 우리나라엔 건국 이 래 최악의 경제참사가 벌어지고 있었다. ‘IMF사태’라 불렀 던 외환위기였다. 경제란 원래 상승과 하강의 끊임없는 반 복이다. 호황 뒤엔 반드시 불황이 오고, 고통스러...
    Date2023.01.13 Views84
    Read More
  7. 분노의 시대, 이순신이 답하다.

        임진왜란, 분노의 역사는 끝나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는 분노의 시대를 살고 있다. 진영·지역·세대·젠 더 등이 대립하고 증오하는 분노다. 임진왜란 시기 기성사림 과 신진사림,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등이 대립하고 분열하던 모습과 판박이다. 그러나 ...
    Date2023.01.13 Views84
    Read More
  8. 조이-긴再見 홍콩

        전가림 호서대학교 교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홍콩 주권 반환 25주년 기념식 참석차 5년 만에 홍콩을 찾았다. 코로나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 1월 이후, 중국 본토를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던 시진핑의 홍콩행 여부는 자연스레 언론의 주...
    Date2022.08.21 Views135
    Read More
  9. 인간의 능력: 어떻게 말을 배우는가?

        김영화 한림대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많은 사람들이 어릴 적에 듣는 말이 있다. “앞에 하얀 백지가 주어졌다고 하자. 인생이란 그 백지 위에 스스로 그림을 그려 나가는 것과 같다. 어떤 그림을 그릴 것인가, 어떤 그림을 그려낼 것인가가 앞으로 여러...
    Date2022.08.21 Views131
    Read More
  10.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한국의 선택 _ 김성한

      미중 경쟁은 ‘패권경쟁’보다는 ‘전략경쟁’ 양상에 가깝다. 여전히 미국과 중국의 국력에 여전히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이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는 양상, 즉 패권경쟁(hegemonic competition)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긴 힘들다. 그리...
    Date2021.09.05 Views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